상세 컨텐츠

라이프

본문 제목

우리 조상의 지혜, 김장 담그기

본문

2018. 11. 12. 17:15

시대가 바뀌고 새로운 문화가 생겨도 겨울이 시작되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우리나라만의 전통적인 모습이 있습니다. 바로 김장 담그기인데요. 과거 농촌사회에서는 늦가을에서 초겨울 사이가 되면 온 동네 주민들이 팔을 걷고 마을 우물가에 모여 김장을 담그곤 했습니다. 김장은 언제부터 담그기 시작했을까요? 왜 겨울이 시작되기 전에 담그는 걸까요? 오늘은 김장에 담긴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채소, 배추

김장을 왜 겨울의 초입에 담그는지 알려면 먼저 배추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우리 민족에게 배추만큼 친숙한 채소도 없습니다. 전국 어디를 가든지, 어느 집에 가든지,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것이 바로 배추로 만든 김치이기 때문입니다. 

김치를 만드는 주 재료인 배추는 서늘한 기후를 좋아합니다. 자라기 적당한 온도의 범위가 섭씨 18∼21℃로 좁은 편인데, 10℃ 이하에서는 생육 기능이 떨어지고 5℃ 이하에서는 생육이 완전히 멈춥니다. 반대로 23℃ 이상의 고온에서도 역시 자라기 힘듭니다. 따라서 열대지방에서는 재배가 어렵고, 우리나라처럼 사계절이 있는 곳에서만 재배할 수 있습니다. 1년 중에서도 봄이나 가을에만 재배할 수 있고, 가을에 더 많이 재배합니다. 


김장이 갖고 있는 의미

김장을 담그고 나누는 문화는 2013년 유네스코에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습니다. 기록을 보면 우리 민족은 고려시대부터 김치를 저장해 먹었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그 옛날 우리 조상들은 김장을 왜 담그기 시작했을까요? 

현대와 같이 난방 기술이 발달되지 않았던 과거, 조상들의 겨울은 지금보다 훨씬 더 춥고 길었을 것입니다. 겨울에는 아무런 채소도 작물도 자라지 않기 때문에 자연에서 음식을 구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했죠. 따라서 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기 전, 최대한 많은 음식을 마련해야 했습니다. 이런 상황에 대비해 겨울철에 먹을 수 있도록 지혜를 발휘한 것이 바로 김장인 것입니다. 


생명보험과 비슷한 김장 담그기

사실 김장을 담그는 것은 상부상조의 정신을 실천하는 것입니다. 예전에는 온 마을 사람들이 각자 준비한 재료를 모두 모아 한 곳에 모여 김장을 담갔고, 조금씩 나눠 가졌기 때문입니다. 혼자 김장을 담그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는 김장을 담가 본 사람이라면 잘 알 것입니다. 김장은 각자 낸 보험료를 모아서 그 돈을 재원으로 하여 나중에 불행한 일을 당한 사람에게 보험금을 지급하는 보험과 비슷한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조상들이 긴 겨울을 음식 걱정 없이 보내기 위해서 김장을 담근 것처럼, 훨씬 긴 인생을 걱정 없이 보내려면 어떤 준비가 필요할까요? 사랑하는 가족을 위한 안전장치를 마련해야 하지 않을까요? 지금까지 가꿈사 사내필진 13기 전인혁이었습니다. 


행운 가득! 행복 가득! 가꿈사가 준비한 이벤트 참여하고 선물 받으세요!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