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라이프

본문 제목

24절기의 유래와 생명보험

본문

2019. 2. 21. 11:43

양력으로 2월 4일은 입춘(立春)입니다. 입춘은 24절기 중에 봄철에 있는 첫 번째 절기인데요. 글자 그대로 봄이 시작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절기가 갖는 의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입춘의 유래

24절기는 옛날 중국의 주나라 시대부터 시작됐다는 말이 있습니다. 주나라는 위도상으로 우리나라의 제주도나 일본의 오키나와보다 더 아래에 있었는데요. 따라서 지금의 우리나라의 날씨보다 훨씬 따뜻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마도 겨울이 지나고 2월이면 제법 따뜻한 기운이 느껴졌겠죠. 입춘이 되면 우리 조상들은 겨울 동안 쌓인 집안 곳곳의 먼지도 털어내고, 농기구도 손질하면서 한 해의 농사를 준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면서 집안의 대문이나 기둥에는 한 해의 건강과 평안을 바라는 좋은 글을 써서 붙여 놓곤 했는데요. 이런 글을 춘첩자(春帖子)라고 불렀습니다. 지금도 가끔 오래된 집이나 건물의 문에서 발견할 수 있는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 심상사성(心相事成) 등의 글이 모두 춘첩자의 일종입니다. 


24절기는 왜 만들어졌을까?

옛날에는 농경사회였기 때문에 계절의 변화에 아주 민감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가장 좋은 때에 씨를 뿌리고, 가장 좋은 때에 수확을 하는 것이 무척 중요한 일이었죠. 농사를 잘 지으려면 날씨와 기후 조건에 대해서 잘 알아야 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주간 날씨, 월간 날씨를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했는데요. 이렇게 해서 나오게 된 것이 24절기입니다. 해마다 같은 시기에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자연현상 중 가장 대표적인 것들을 기록한 일종의 생활지침서였죠. 

예전에는 달의 움직임을 보고 날씨를 관찰했는데요. 24절기는 이름만 봐도 어떤 의미인지, 어떤 현상이 있는지 쉽게 판단할 수 있습니다. 경칩(驚蟄, 양력 3월 5일, 겨울잠을 자는 벌레가 깨어남), 곡우(穀雨, 양력 4월 20일, 봄비가 내려 곡식을 기름지게 함) 등 매월 2개씩 있고, 각 절기마다 약 15일 정도의 간격이 있습니다. 매년 기후 변동과 이상 기후들이 생겨나고 있긴 하지만 24절기는 지금도 우리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여전히 많은 농촌 지역에서 24절기를 참고해 농사 일정을 세우고 있죠. 


예측할 수 없는 위험에 대비하는 방법

우리 조상들이 24절기를 중요하게 생각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24절기를 잘 활용하면 농사를 짓기 위해 당장 무엇을 해야 하는지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이었습니다. 절기는 매월 두 번씩 어김없이 찾아오기 때문에 그 절기에 해당하는 맞춤 활동이 가능했죠. 지금처럼 일기예보나 뉴스가 없었던 시절에는 24절기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우리네 인생에도 예측 가능한 24절기가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하지만 인생에는 도저히 예측할 수 없는 일들이 많이 일어납니다.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위험’인데요. 여기서 말하는 위험이란 사고나 질병, 또는 재해를 포함한 광의의 개념입니다. 교통사고, 자연재해는 물론 예측할 수 없는 각종 질병들은 한 사람의 인생을 송두리째 바꿔 놓기도 하죠.

이런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반드시 준비해야 하는 것이 바로 생명보험입니다. 생명보험은 백세시대에 행복한 삶을 보내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필수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24절기를 기록해 미래를 대비하고, 만전을 기하고자 했던 우리 조상들의 현명함을 생명보험을 통해 실천해 보면 어떨까요? 지금까지 가꿈사 사내필진 14기 전인혁이었습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